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중학교 3학년 과학과정 중 하나인 바람의 정의와 원리, 해륙풍과 계절풍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바람의 정의와 원리
(1) 정의
- 두 지점의 기압 차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 고기압 : 같은 고도에서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
- 저기압 : 같은 고도에서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
(2) 바람이 부는 원리
- 지표면이 가열, 냉각됨에 따라 기압 차이가 발생해 바람이 분다
- 지표면이 냉각된 곳 : 공기하강 -> 상층에서 주변으로부터 공기가 모여듦 -> 지표면의 기압상승
- 지표면이 가열 된 곳 : 공기 상승 -> 상층에서 공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감 -> 지표면의 기압 하강
- 바람의 방향 : 기압이 높은 곳 -> 기압이 낮은 곳
2. 해륙풍과 계절풍
(1) 정의
- 육지와 바다의 가열 및 냉각 속도의 차이에 의해 부는 바람이다.
- 육지는 바다보다 비열이 작아 빨리 가열되고, 빨리 냉각된다. 따라서 낮이나 열므철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온도가 높고, 밤이나 겨울철에는 바다가 육지보다 온도가 높다.
- 해륙풍 : 해안에서 하루를 주기로 풍향이 바뀌어 부는 바람
- 계절풍 : 대륙과 해양 사이에서 1년을 주기로 풍향이 바뀌어 부는 바람
(2) 해륙풍 (해풍)
- 시기 : 낮
- 기온 : 육지 > 바다
- 기압 : 육지 < 바다
- 풍향 : 바다 -> 육지
(3) 해륙풍 (육풍)
- 시기 : 밤
- 기온 : 육지 < 바다
- 기압 : 육지 > 바다
- 풍향 : 바다 <- 육지
(4) 계절풍 (남동 계절풍)
- 시기 : 여름철
- 기온 : 해양 < 대륙
- 기압 : 해양 > 대륙
- 풍향 : 해양 -> 대륙
(5) 계절풍 (북서 계절풍)
- 시기 : 겨울철
- 기온 : 해양 > 대륙
- 기압 : 해양 < 대륙
- 풍향 : 해양 <- 대륙
3. 해륙풍과 계절풍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공통점
- 지표의 가열과 생각에 의한 기압차이로 부는 바람이다.
(2) 차이점
- 해륙풍은 해안 지역에서 하루를 주기로 풍향이 바뀌지만,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 사이에서 1년을 주기로 풍향이 바뀐다.
여기까지 중학교 3학년 과학 과정중 하나인 바람의 정의와 원리, 해륙풍과 계절풍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