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심혈관 응급약물 적응증과 약리작용

by 성오 2022. 2. 6.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심혈관 응급약 적응증과 약리작용에 대하여 말씀드리면서 EpunephrineAtropine, Amiodarone, Verapamil, Ma, Adenosine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Epinephrine, Atropine의 기전, 약리작용, 적응증, 부작용

(1) Epinephrine

  • 기전 : 교감신경 작용제, 혈관 수축제
  • 약리작용 : 심장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 및 뇌관류 증가
  • 적응증 : 심정지 상황 발생 시 처음으로 사용되는 약물
  • 부작용 : 빠른 시간 내에 고혈압과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음, 심근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고 심근 허혈을 악화시킬 수 있다.

(2) Atropine

  • 기전 : 항콜린 약물, 콜린 수용체 길항제
  • 약리작용 :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투쟁 또는 도피 반응 유도 심박수 증가, 기관지 팽창, 소화관 이동성 감소, 동공 확장, 샘 분비물 감소 등
  • 적응증 : 심정지를 포함하여 약해진 심장 기능을 회복한다.
  • 부작용 : 구강 건조, 변비, 소변 정체 등이 있다.

 

2. Ma, Adenosine의 약리작용, 적응증, 기전, 부작용

(1) Ma(Magnesium)

  • 약리작용 : 체내 마그네슘 농도를 상승시켜 저마그네슘 혈증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완화
  • 적응증 : 불응성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등

(2) Adenosine

  • 기전 : 항부정맥약물
  • 약리작용 : 방실결절(AV node) 전도시간을 늦추고 방실결절 재진입 통로를 차단한다.
  • 적응증 : 부정맥의 치료
  • 부작용 : 안면홍조, 호흡곤란, 가슴 불쾌감 등이 있다.

 

3. Amiodarone, Verapamil의 기전, 약리작용, 적응증, 부작용

(1) Amiodarone

  • 기전 : 항부정맥약물
  • 약리작용 : 심근 조직에서 불응기와 활동전위의 연장을 통해 항부정맥 효과, 비경쟁적으로 교감신경 알파 및 베타수용체 억제 작용
  • 적응증 : 부정맥의 치료, 작용시작이 늦기 때문에(평균4~10) 다른 항부정맥제에 반응하지 않는 부정맥에 사용한다.
  • 부작용 : 저혈압, 폐독성, 각막 미세침착, 광선과민증 등이 있다.

(2) Verapamil

  • 기전 : 칼슘통로 차단제
  • 약리작용 : 칼슘이 심혈관 세포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방실결절을 통한 전도 속도의 감소와 기능적 불응기의 현격한 증가
  • 적응증 : 혈압, 협심증 및 일부 부정맥 치료
  • 부작용 : 혈압저하, 서맥, 방실차단, 변비, 현기증, 두통, 오심 등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심혈관 응급질환 시 사용되는 약물의 기전과 약리작용 적응증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