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음용수의 정의와 기준, 조건

by 성오 2022. 10. 26.
반응형

이 글은 음용수에 관한 정보를 다루기 위하여 음용수의 정의와 중요성, 음용수의 기준, 음용수의 조건에 관한 정보를 담은 글입니다.

 

# 음용수의 정의와 중요성

(1) 음용수의 정의

  음용수(dringking water), 음용으로 제공되는 물을 말하고 음료수라고도 합니다. 사람이 생활 기능을 영유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은 빼놓을 수 없는 것이고 음식은 3~5주일정도 섭취하지 않아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데 물은 5~7일 이상 마시지 않으면 사망한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물은 인간의 생활환경과 불가결의 관계에 있으며, 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커다랗습니다. 따라서 음용으로 제공하는 물은 그 안정성이 충부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 불가결 : 없어서는 아니 됨.

 

(2) 인체에서 물이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

  인체의 65%는 수분으로, 10%를 잃으면 생리장애를 일으키고 20%를 잃으면 죽게 됩니다. 1일 필요량은 2~2.5리터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의 식사는 수분이 많아서 식사와 아울러 1.5 리터를 섭취하게 되므로 음료수로서의 필요량은 평균 0.5~1리터 입니다. 음료수는 위생적으로 안전한 동시에 외관상 꺠끗하고 냄새가 없는 것이어야 합니다.

 


# 음용수의 기준

(1) 음용수의 기본적인 기준

1. 질 좋은 음용수로서는 다음의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2. 무미, 무취, 무색 투명할 것

3. 중성이고 경도(Hardness)가 낮은 것

  • 경도 : 물의 세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물에 녹아있는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서 유발된다.

4. 병원 미생물, 유독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

 

(2) 과학적인 수질 기준

1. 분뇨 오염의 표시가 되는 암모니아태 질소나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을 것

  • 암모니아태 질소 : 질소의 각종 화합물 중 암모니아 또는 암모늄염으로 존재하는 질소

2. 사이안, 수은, 유기인 등의 유독물질을 함유하지 말 것

3. 양이 많으면 위생적으로 유해한 성분이 허용량 이하일 것

4. 물을 착색시키거나 냄새를 내거나, 거품을 내는 성분이 장애를 일으키지 않을 농도 이하일 것

5. 나쁜 냄새나 맛이 없고 탁도나 빛깔이 허용량 이하일 것

 


# 물 맛이 좋은 수질 조건

1. 적당한 무기질과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을 것

  • 무기질 : 생물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탄소, 수소, 산소 등의 3원소를 제외한 생물체의 무기적 구성 요소

2. 수온이 10~15도 일 것

3. 이상한 냄새와 맛을 내는 염소, 황화수소, 페놀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지 않을 것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