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 중 대용금, 추가 상장, 호재와 악재, 자사주, 자전거래, 스탑로스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대용금, 추가 상장
(1) 대용금
-대용금은 보유 중인 주식을 증거금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계산한 금액입니다.
-즉 보유주식으로 담보 대출을 하는 것입니다. 계산 식은 [보유 주식] X [전일 종가] X [정일 종가] X [일정 비율]입니다.
-일정 비율은 보통 70~80%로 계산합니다. 현금처럼 출금은 불가능하고 증거금과 개념이 똑같기 때문에 결제일에 결제가 가능한 현금이 있어야 합니다.
(2) 추가 상장
-추가 상장이란 주식 거래가 가능한 신주를 추가적으로 상장하는 개념입니다. 즉 거래 가능한 물량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이때 1주당 상장 금액이 별도로 표시되는데, 유통 중인 물량보다 적으면 주가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가 많지만 물량이 많거나 상장 금액이 현재가보다 저렴하면 악재로 해석되어 매도세가 늘어나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상장 금액이 현재가보다 비살 땐 호재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2. 호재와 악재, 자사주
(1) 호재와 악재
-종목이나 주가와 관련해 좋은 소식을 호재라 말하고, 나쁜 소식을 악재라 말합니다.
-호재가 발생했다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호재 이후에 바로 주가가 움직일 수도 있고, 시간이 흐른 뒤에야 영향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호재 뉴스가 나오면 어떤 이슈인지 체크하고, 어떤 시점에서 호재로 적용되는지 분석을 해야 합니다. 악재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분석해야 합니다.
(2) 자사주
-자사주는 자사가 발행한 주식을 의미합니다.
-주가 관리와 경영권 방어에 쓰입니다. 기업이 자기 자금으로 자사주를 매수하면 자사주 매입이라 말하며, 자사주 취득이라고도 부릅니다. 반대로 자사주를 매도하면 자사주 처분이라고 말합니다. 자사주를 매입하고 소각하는 행위를 자사주 소각이라고 말하는데, 이때 발행주식수가 소각한 만큼 줄어듭니다.
3. 자전거래, 스탑로스
(1) 자전거래
-자전거래란 증권회사가 같은 주식을 동일 수량으로 매수주문과 매도 주문을 넣고 거래를 체결시키는 경우입니다.
-꼭 증권회사가 아니더라도 해당 주식을 투자하는 모든 투자자가 해당될 수 있습니다.
(2) 스탑 로스
-스탑로스란 주식 자동 감시 주문입니다.
-증권 상제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보유종목 자동매도, 신규종목 자동 매수, 조건식 매매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를 할 때 실시간으로 체크를 하지 못할 때 설정해두면 좋습니다. 언제든 감시를 켜고 끌 수 있습니다.
2021.11.14 - [분류 전체보기] - [주식 용어#13] 주문 번호, MTS와 HTS,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미수동결계좌, 주문 가능 현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