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7]단일가 거래, 상한가와 하한가, VI, 시가총액, 보조지표

by 성오 2021. 11. 10.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주식용어 중 단일가 거래, 상한가와 하한가, VI, 시가총액, 보조지표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주식 단일가거래, 상한가와 하한가, VI

(1)단일가 거래

-시간외 거래가 아닌 정규장에서도 단일가 거래가 진행될 때가 있는데, 딘기과열 종목으로 지정되거나 VI가 발동 되었을 때입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동시호가로 진행됩니다. 단기과열 종목으로 지정되면 30분 단위로 체결됩니다.

(2)상한가와 하한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당일 하루 동안의 정해진 가격 제한폭에서 최대로 상승한 것을 상한가라고 부르며, 정해진 가격폭에서 최대로 내려간 것을 하한가라고 부릅니다. 상한가와 하한가의 가격제한 폭은 30%로 정해져 있으며, 한 종목은 그날 하루에는 30%를 초과해서 상승하지 못하고, 또한 30%보다 더 하락하지 않습니다. 시간외 단일가에서도 가격제한폭의 규칙이 적용되어 있어 상한가나 하한가에 도달한 종목은 그 이상 초과해 거래할 수 없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증시의 안정을 위해 도입된 제도 입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 주식의 경우에는 정해진 가격 제한폭이 없어 하루에도 수백에서 수천퍼센트 이상 등락하기도 합니다.

(3)VI

VI는 변동성 완화 장치(Volatility Interruption)인데, ' VI가 발동 됐다' 고 표현합니다. VI에는 동적 VI와 정적 VI가 있는데, 동적 VI는 직전 체결가격을 기준으로 ㅗ스피는 2~3%, 코스닥은 4~6%이상을 벗어나는 경우 2분단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고, 정적 VI는 전일 종가 기준 10%이상 주가 변동 시 2분간 단일 매매로 전환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VI는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어 시스템입니다.

VI가 발동하면 단일가 거래로 전환되며 동시호가 상태가 됩니다. 이때 발동중인 시간대에 매수나 매도 주문을 넣으면 VI가 풀렸을 때 결정된 가격으로 거래가 재개 됩니다. 꼭 거래하고 싶은 분들은 시장가 매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2.시가총액, 보조지표

(1)시가 총액

-시가총액은 주식시장 전체의 시갗총액과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으로 나뉩니다. 줄여서 시총이라고도 합니다.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 총액은 상장한 모든 종목의 총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입니다. 시가총액은 하나의 경제지표로 활용됩니다. 

시가 총액 산출 방식은 전 상장 종목들로 당일 종가에 상장 주식수를 곱한 합계입니다.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은 해당 종목의 발행주식수와 주가를 곱한 값으로, 회사의 규모를 나타날때 사용됩니다. 주가가 변동될 때 마다 시총이 변하는 까닭입니다. 정확한 시총을 계산하고 싶다면 장이 마감됐을 때 발행 주식수와 종가를 곱하면 됩니다.

(2)보조지표

-보조지표는 투자를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모든 지표를 의미합니다. 차트나 거래량 등을 보는 기술적 지표와 물가지수나 선물지수, 경제지표 등이 있습니다. 투자에 도움을 주는 지표들을 모두 보조짚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