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분만 기전에서 각각의 단계에 다른 기전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진입, 하강, 굴곡에 대하여
(1) 진입
진입은 아두의 대회경선이 골반 입구를 통과할 때를 말하며 태아의 시상봉합은 골반입구의 횡경선 혹은 사경에 일치하여 진입 하게된다. 초산부의 경우 분만 시작 2주 전, 경산부의 경우 분만 시작과 함께 진입 하게 된다.
(2) 하강
태아의 선진부가 골반입구를 지나 골반 출구를 향하여 내려가는 모든 과정을 말하며 초산부의 경우 분만 1기 활동기 후반기에는 5~7cm 하강하고 분만 2기에는 빠르게 진행되며 전반적으로 하강 속도는 일정하다. 경산분의 경우 진입과 하강이 동시에 일어나며 매우 빠르다.
- 하강을 이루는 요소에는 양수의 압력, 자궁수축, 분만 2기 동안 모체의 횡경막과 복근의 수축, 태아 신체의 신전과 똑바로 펴는 행위가 있다.
(3) 굴곡
아두가 하강하게 되면서 경부와 골반벽, 골반저부로부터 저항을 받아 굴곡이 일어나 태아의 턱이 가슴 쪽으로 바싹 붙이게 되는 굴곡이 나타난다.
# 내회전, 신전에 대하여
(1) 내회전
모체의 골반 입구는 횡경선이 길기 때문에 횡위로 진입한 아두가 전후경선이 더 긴 골반출구로 만출하기 위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내회전으로 인해 아두의 시상봉합이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에 일치하게 된다.
- 좌골극 수준에서 내회전이 시작된다.
(2) 신전
회음부에 닿은 아두의 후두가 치골겹합 하단에 닿게 되어 자궁이 아래로 미는 힘과 골반상의 위로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외음부가 상방으로 벌어져 선진부가 만출되는 과정을 말한다.
- 후두, 두정, 전정, 이마, 코, 입, 턱의 순서로 만출된다.
- 만출이 완료된 직후 아두는 아래로 쳐지고 턱은 산모의 항문 앞에 놓이게 된다.
# 복구 및 외회전, 만출에 대하여
(1) 복구 및 외회전
복구는 만출된 아두가 내회전이 일어나기 전의 원래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말하며 외회전은 태아 어깨의 양 견봉이 모체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에 일치하여 골반출구를 통과하기위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2) 만출
위 어깨가 먼저 만출한 후 아래 어깨가 나오도록 전견갑을 회음부 위로 올리게되고 어깨가 빠져나온 후 나머지 부분은 빨게 만출된다.
- 태아가 완전히 만출되었을 때를 출생시간으로 기록한다.
이번 글에서는 분만 시 나타나는 각각의 기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분만은 위 글의 순서대로 진행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