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산업 기술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정의 및 특징과 폐기물 에너지 기술의 정의 및 특징

by 성오 2022. 2. 2.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정의와 특징, 폐기물 에너지 기술의 정의 및 특징과 국내 기업들의 현황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특징

(1) 폐기물 에너지의 정의

  • 폐자원을 이용하여 만든 고형연료 제품, 매립가스, 바이오가스 및 합성 가스 등의 기체 연료, 정제 연료유 및 재생 연료유 등의 액체연료와 소각열 에너지를 포함하는 에너지.
  • 폐기물 에너지는 에너지 함량이 높은 가연성 폐기물을 활용하여 고형연료, 가스화, 소각, 폐열등을 통해 전기, 열을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2)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특성

  • 폐기물 에너지 산업은 폐기물의 종류 및 성상 등 여러 가지 특성과 관련된 에너지화 설비 기술과 이용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 폐기물 에너지 산업은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연료 개발과 에너지 회수와 관련된 친환경 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폐기물 발생량에 관련 이 있는 산업으로서 경제와 산업 규모에 영향을 받습니다.
  • 이에, 불순물 및 오염 물질을 함유한 폐기물의 에너지화 기술개발 과 원료의 안정적 수급이 중요한 산업입니다.

 

2.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전망

(1) 글로벌 에너지 전망

  • IEA의 세계 에너지 전망 보고에 따르면 1차 에너지 소비중 폐기물 에너지가 속한 재생 에너지는 204029% 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2) 국내 폐기물 에너지의 비중

  • 국내 신재생 에너지 중 폐기물 에너지는 무려 56.9%에 달하며 발전량역시 51.2 %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폐기물 에너지 시장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이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 방향성을 통하여 국내 폐기물 에너지의 비중이 현황을 유지할 지를 간접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입니다.
     

3. 폐기물 에너지 기술과 에너지별 원자재

(1) 페기물 에너지의 구분과 국내의 폐기물 에너지

  • 폐기물 에너지는 총 4가지로 구분이 되며, 그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화, 열분해 유화, 소각 폐열
  • 국내는 고형연료 폐기물 에너지 기술을 개발 및 참여하고 있으며 그 설계 및 시공 기술력은 해외 선도기업 수준에 도달해있습니다.

(2) 고형연료화 기술의 원자재

  • 종량제 배출 생활 폐기물, 매립지 폐기물
  • 사업장, 건설 및 농림폐기물 일부

(3) 폐자원 가스화 기술의 원자재

  • 종량제 배출 생활 폐기물
  • , 폐수 슬러지

(4) 바이오 가스화 기술의 원자재

  • 음식물류 폐기물, 음폐수
  • , 폐수 슬러지, 매립가스, 축산 분뇨

(5) 바이오 연료화 기술의 원자재

  • 음식물류 폐기물, 음폐수
  • , 폐수 슬러지, 매립가스, 축산 분뇨

(6) 유기성 폐기물 고체 연료화 기술의 원자재

  • , 폐수 슬러지
  • 축산 분뇨

 

여기까지 폐기물 에너지와 폐기물 에너지 산업의 정의 및 국내 기업 현황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