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44] 시황, 세장 등 주식용어 6종

by 성오 2021. 11. 27.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국장에서 시황을 읽을 때 쓰이는 주식 용어 들인 시황, 장세, 강세장과 약세장, 왜곡 시장, 톤, 펀더멘털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시황, 장세

(1) 시황

  • 시장의 상황을 줄여서 시황이라고 부릅니다. 
  • 기업들의 이슈 또는 경제나 증시의 움직임을 분석할 때 시황을 분석한다고 말하며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시황 리포트를 파악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넷 검색하기에 앞서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먼저 들어보는 것이죠.

(2) 장세

  • 시장의 추세를 줄여서 장세라고 합니다. 장세가 ~하다 라는 등의 용어로 쓰입니다.

 

2. 왜곡 시장

  • 주가가 그 종목이 가지고 있는 실제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시장을 왜곡 시장이라고 부릅니다. 흔히 지수는 상승세인데 대다수의 종목이 하락세를 유지할 때에 왜곡 시장이라고 합니다.
  • 보통 왜곡시장이 관측되는 경우는 시가 총액이 거대한 일부 종목의 대폭 상승으로 인한 전체 지수는 상승하지만 대다수의 종목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왜곡시장이 줄 수 있는 교훈은 지수 또한 숫자일 뿐이니 과신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3. 톤, 펀더멘털

(1) 톤

  • 톤은 비관 또는 상승, 하락 등을 붙여서 사용하는 주식 용어입니다.
  • 비관톤은 상승과 하락에 상관없이 비관적인 투자자 혹은 그런 시황을 부를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 상승톤은 지수가 상승할 것이라 분석하는 투자자 혹은 그러한 시황을 뜻합니다.
  • 하락톤은 지수가 하락할 것이라 분석하는 투자자 혹은 그러한 시황을 뜻합니다.

(2) 펀더멘털

  • 기업의 재무고조의 안정성, 성장 가능성, 적정 주가, 매출의 확대 및 기업의 발전 계획 등을 분석할 때 쓰이는 용어로 주식시장에 영향을 끼치는 경제지표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