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9] 1틱, 매수와 매도, 익절과 손절, 약수익과 약손실, 본전치기

by 성오 2021. 11. 12.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중 1틱, 매수와 매도, 익절과 손절, 약수익과 약손실, 본전치기 등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주식 용어 1틱, 매수와 매도

(1) 1틱

-호가창에서 해당 주식의 1호가를 1틱이라고 말합니다. 즉 호가와 틱은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ex) // 상가까지 3틱이 남은 상태라는 말은 3호가 뒤에 상한가가 된다는 말입니다.

(2)매수와 매도

-주식을 매매할 때 구매하는 것을 매수라고 말하며, 판매 하는 것을 매도라고 말합니다. 또, 매수와 매도 또한 상태, 거래비율에 따라서 부르는 용어가 조금씩 다릅니다.

-풀매수와 풀매도 : 거래가 가능한 만큼 매수 또는 매도하는 것

-반매수와 반매도 : 거래가 가능한 값에서 절반만 매수 또는 매매하는 것

-완매수와 완매도 : 매수또는 매도를 완료하는 것

반응형

2.주식용어 익절과 손절, 약수익과 약손실

(1)익절과 손절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매도한 이후에 수익이 났다면 '익절했다' 고 표현하고, 손실이 났다면 ' 손절했다' 고 표현합니다. 일부 물량만 매도했다면 앞에 '분할' 이라는 말을 붙이고, 모든 물량을 매도하면 '전량'이라는 말을 붙입니다.

-(ex) // 분할 익절 / 분할 손절 / 전량 익절 / 전량 손절 등으로 쓰입니다.

-또한, 익절한 가격대를 '익절가'라고 말하며, 손절한 가격대를 '손절가'라고 말합니다. 손절=손절매=로스컷

(2)약수익과 약손실

-약수익과 약손실은 종목을 매도하고 수익이나 손실이 미비하거나 작은 경우에 쓰이는 말입니다.

-주식을 매매하는 행위가 현재의 자산상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지요.

3.본전치기

-본전치기는 처음에 매수한 평단가 근처에서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익이나 손실이 미비하거나 없을 때 쓰이는 말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