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주식 용어47 [주식용어#28] 보호예수, 대차거래, 공개매수 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 중 보호 예수, 대차거래, 공개매수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보호 예수 너무 심한 폭으로 폭락장이 생길 때는 주식시장에서 해당 종목의 정해진 물량을 일정기간 동안 거래할수 없도록 보호조치를 하는데, 이를 보호 예수라고 합니다. 보호 예수 기간은 코스피와 코스닥이 다른데, 일반적으로 코스피 6개월, 코스닥 1년입니다. 보호예수는 공지를 해주지 않기 때문에 투자전 미리 체크하고 매매해야 합니다. 2. 대차거래 주식을 장기간 보유한 금융 회사가 해당 주식을 필요로 하는 다른 기관에게 일정기간 빌려주는 거래를 대차거래라고 하며 기간이 단기적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대차로 빌려와서 매도하고, 이후 주가가 하라갛면 재매수하여 되갚아 차익을 챙기는 용도로 사용되는.. 2021. 11. 18. [주식 용어#27] 공매도,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감자, 블록딜, 액면 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 중 공매도,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감자, 블록딜, 액면 분할과 액면 병합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공매도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 매도 주문하는 것을 공매도라고 부릅니다. 공매도는 다른 투자자에게 빌려서 매도를 하고, 시간이지나 결제일이 오면 기존 매입자에게 빌린 금액을 돌려주는 형태의 거래방식입니다. EX) A종목의 현재 주가가 n만원이고 이를 가지고 있지 않은 투자자가 공매도를 통하여 다른 투자자에게 주식을 빌려 n만원에 매도를 합니다. 3일 이후 결제일에 주가가 n-1 만원으로 하락했다면 n-1 만원에 매수해 빌린 것을 갚는 투자입니다. 이렇게 하면 처음에 n만원에 매도를 하고 이후에 n-1 만원으로 매수를 했기 때문에 1만 원의 투자 차익을 가지게 됩.. 2021. 11. 18. [주식 용어#18]무표, 허매수와 허매도, 보통주와 우선주, 구형우선주와 신형우선주, 전환우선주와 상환 우선주, 참가적 우선주와 비참가 우선주, 누적 우선주와 비누적 우선주 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 중 무표, 허매수와 허매도, 보통주와 우선주, 구형우선주와 신형우선주, 전환우선주와 상환 우선주, 참가적 우선주와 비참가 우선주, 누적 우선주 외 비누적 우선주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무표와 허매수와 허매도 (1) 무표 -무표란 '포지션이 없다'라는 뜻으로,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2) 허매수와 허매도 -호가창을 보면 매물이 쌓아져 있는데 이는 매수 대기 물량 혹은 매도 대기물량입니다. 터무니없이 너무 많은 물량이 특정 호가에 쌓일 때가 있는데, 주가가 변동되는 상황에서 체결되지 않고 그대로 매물이 빠지면 가짜 매물로 간주하여 허매수와 허매도라고 표현합니다. 2. 보통주와 우선주, 구형우선주와 신형우선주 (1) 보통주와 우선주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으며 .. 2021. 11. 18. [주식 용어#17]양봉 아래꼬리, 양봉 윗 꼬리, 음봉 아래 꼬리, 음봉 윗 꼬리 이번 시간에는 주식 용어 중 양봉 아래꼬리, 양봉 윗꼬리, 음봉 아래꼬리, 음봉 윗꼬리에 대하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양봉 아래 꼬리, 양봉 윗 꼬리 (1) 양봉 아래꼬리 -양봉의 아래 꼬리(밑 꼬리)는 시가보다 가격이 낮을 때 표시됩니다. -EX) 시사가 20,000원이고 저가가 18,000원이면 2천 원만큼의 아래꼬리가 달립니다. 단, 종가가 20,000원 보다 높은 상태로 마감해야 양봉 캔들이 완성됩니다. (2) 양봉 윗꼬리 -양봉의 윗꼬리는 종가보다 높은 가격일 때 표시됩니다. -EX) 종가가 26,000원이고 고가가 3만 원이면 4천 원만큼의 윗꼬리가 생기게 됩니다. 출발은 양봉으로 하더라도 종가가 시가보다 낮은 가격이 되면 음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양봉가 음봉이 서로 얼마든지 변할.. 2021. 11. 17.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