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급성심근경색 원인
-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 드물게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할 경우 발생한다.
2. 급성심근경색의 증상과 징후
(1) 흉통
- 흉통의 부위와 양상, 방사부위 등은 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하나 강도가 훨씬 심하고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 가슴이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통이 휴식이나 NTG로도 완화되지 않는다.
-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중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한다.
(2) 호흡곤란
- 심근괴사의 범위와 막힌 혈관의 위치, 크기에 따라 심장기능과 임상증상이 다르다.
- 괴사심근의 수축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로 저산소증, 소변량이 줄어들고 폐울혈로 진행되면서 발생한다.
(3) 불안
(4) 오심과 구토
(5) 발열과 백혈구 증가
3. 급성 심근 경색의 치료
(1) 환자후송과 응급의료
- 발작 후 심장성 돌연사 위험이 대단히 높아 심장발작 후 심혈관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집중관리를 맡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응급실에 도착한 환자에게 처음 긴장을 완하하고 흉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진통제를 주사하거나 NTG를 설하에 투여한다.
(2) 섬유소 용해요법
- 심근괴사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재관류를 목적으로 관상동맥에 형성된 혈전을 용해하기 위하여 초급성기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 t-PA, urokinase, streptokinase
- 투여 동안 투여 후에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5분마다 심전도, 활력징후, 심장과 폐를 사정한다.
(3) 투약
- 니트로글리세린, 모르핀, β-교감신경 차단제, 항혈소판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항부정맥제, 변 완화제를 사용한다.
(4) 시술 및 수술
- 1차 관상동맥 중재술
- 관상동맥우회술
- 기타 중재술 : 심장순환치료, 경심근 레이저 재형성술, 순환 보조장치
급성심근경색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급성심근경색의 간호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