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글에서는 고관절 골절의 특징과 치료방법에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엉덩관절 골절의 종류와 특징
(1) 특징
- 심한 통증, 근육경련, 다리가 짧아지고(shortening), 내전과 외회전이 발생한다.
(2) 관절강 내 골절
- 관절강 내에서 발생한다.
(3) 관절강 외 골절
- 넙다리뼈, 전자부위의 골절로, 대전자나 소전자 자체나 대·소전자 사이에서 일어난다.
- 관절강 외 골절은 하지가 많이 짧아지고 관절강 내 골절보다 더 심하게 외전한다.
- 혈액공급이 풍부해 쉽게 치유되나 주로 고령에서 발생 되고 수술의 위험도 때문에 사망률이 높다
2. 넙다리뼈 골절의 종류와 특징
(1) 특징
- 노년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1년 내 사망률 약 17%이다.
- 좌식생활로 인한 넙다리 네갈래근 허약과 뼈엉성증으로 넘어짐으로 인한 골절이 잘 발생한다.
- 넙다리뼈골절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여러 부위에 발생한다.
(2) 넙다리뼈 몸통 골절
- 자동차 사고와 낙상사고 등의 과도한 충격으로 발생한다.
- 현저한 전위와 변형, 부종과 연조직 손상 및 출혈이 있다.
- 과다한 출혈은 혈량감소쇼크를 유발하므로 사지의 신경순환 상태 사정을 위해 발등과 오금동맥의 맥박을 측정한다.
- 합병증으로 지방색전, 신경혈관손상, 뼈유합의 문제, 개방성 골절 및 연조직 손상 등이 있다.
(3) 넙다리뼈 목골절
- 다리가 짧아지거나 외회전이 없으며 넙다리뼈머리 부위의 혈액공급 차단 시 넙다리뼈머리 부위에 괴사(무혈관괴사)가 발생하게된다.
3. 고관절 골절의 치료
(1) 치료적 관리
- 전위된 넙다리뼈목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골절 후 12~24시간 내에 교정과 내부고정을 긴급으로 시행하여 넙다리뼈 머리의 혈액공급을 유지 시키고 무혈관 괴사를 최소화한다.
- 내부고정술 시행 전 근육경련과 통증 감소, 환부 고정을 위해 Buck 피부 견인을 일시적으로 적용한다.
- 큰 돌기에 모래주머니를 대주어 외회전을 방지한다.
- 교정을 위해 뼈대견인을 시행한다.
- 근력을 보존하기 위해 다리, 발, 발가락을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고정 후 10~12주가 지나면 보조기를 이용해 걷도록 한다.
- 엉덩관절 골절의 수술방법에는 내부고정술, 인공엉덩관절치환술 등이 포함된다.
(2) 내부고정술
- 넙다리뼈목골절 시 내부고정은 핀, 못, 나사장치 등으로 교정하여 체중 부하가 가능하게 한다.
- 대퇴보철기 삽입은 골절의 정복이 어렵고 분쇄성이거나 불유합이 되기 쉬운 부분이나 무혈관괴사상태에 있는 관절강 내 골절에서 사용된다.
이번글에서는 고관절골절의 종류와 그에따른 특징과 골절의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