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조현병의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요인,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조현병의 생물학적 요인
(1) 유전적 요인
-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 정도
- 한쪽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그 자녀의 발병률은 5~6%정도
- 한쪽 쌍생아에게 조현병이 발병했을 때 나머지 쌍생아에게 발생할 확률이 4배 높다.
(2) 신경화학적 요인
- 도파민 이론 : 도파민 활성 과다로 인해 발단한다는 이론으로, 도파민 수용체 차단제가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 세르토닌 가설
(3) 생리적요인
- 바이러스 감염
- 뇌의 구조적 이상
- 신체 건강
2. 조현병의 심리사회적 요인
(1) 심리적 스트레스원
- 조현병은 흔히 대학진학 등 발달위기나 스트레스 상황에 나타난다.
- 스트레스는 코티졸 분비를 증대시켜 시상하부의 발달을 방해한다.
- 개인의 취약성을 높인다.
- 스트레스가 조현병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없다.
- 유전적 취약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증상을 촉발 시키거나 악화 시킬 수 있다
(2) 사회환경, 문화적 요인
- 열악한 주거환경, 부적절한 영양, 산전관리 부재, 스트레스 관리 부족, 절망감등이 관련있다.
- 아동기 성적 학대 경험, 빈민가나 우범지대 거주, 불우한 사회환경, 이질적 문화권에서의 성장, 심리적 외상 등이 관련있다.
- 조현병은 근본적으로 생물학적 질병, 내적, 외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3. 조현병의 임상적 특성
(1) 양성증상
- 정상인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발현되는 것을 말한다.
- 주로 사고, 언어, 지각, 행동의 변화가 특징이다.
- 급성 발병과 관련되고, 약물에 잘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2) 음성증상
- 정상인에게는 존재해야 할 것들이 부재한 것들을 말한다.
- 둔마정서(감정이 식고 공허해져 감동이 없어지는 것), 사고빈곤, 동기상실, 무쾌감증 등이 있다.
- 치료되기 어렵다.
- 양성증상에 비해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반응도가 적다.
- 환자를 무력하게 만들고 적응과 대처능력을 방해한다.
(3) 인지적 증상
- 기억, 주의집중 또는 사고에 있어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말한다.
- 집중의 어려움, 기억력 손상, 문제해결 능력과 의사결정 능력 결여, 비논리적 사고, 판단력 손상 등이 포함된다.
(4) 정서적 증상
- 감정과 이를 표현하는 것에 장애가 나타난다.
- 주로 불쾌감, 우울, 절망감, 적대감 등이 나타난다.
(5) 개인기능의 영향
- 모든 증상들은 결과적으로 개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직업기능 또는 대인관계 기능, 자가간호능력, 사회적 기능, 나아가
- 삶의 질 등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조현병의 원인과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2부에는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