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41]상방과 하방, 순매수 순매도, 박스피, 매매, 매물

by 성오 2021. 11. 25.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주식을 분석할 때에 사용되는 용어인 상방과 하방, 순매수와 순매도, 박스피와 박스닥, 매매동향과 악성 매물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상방과 하방, 순매수와 순매도

(1) 상방과 하방

  • 주가의 이동방향이 상승 쪽으로 우세하면 상방이라고 하며, 하락 쪽으로 우세하면 하방이라고 부릅니다.
  • 주로 선물 포지션에서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현물에서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만약 선물 옵션 기간 중 외인의 유입이 많다면 외인이 상방에 배팅을 많이 하고 있다 라고 사용합니다.
  • 지수와 주가에 대한 방향 분석 또는 해석 시에 많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2) 순매수와 순매도

  • 투자자들의 매도를 합쳐 나온 값을 순매수 또는 순매도라고 부릅니다. HTS에서 설정을 변경하면 종목별로 순매수와 순매도 지수를 확인가능합니닫.
  • 누적 순매수와 누적 순매수 또한 보조지표로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지정한 기간만큼의 매매량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자표를 볼 때에 누적 순매수가 많다면 어떤 투자자들이 종목을 매수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하고 누적 순매도 또한 어떤 투자자들이 종목은 매도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2. 박스피와 박스닥

(1) 박스피

  •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혀있어 지수가 고점 이상으로 올라가지도 저점 미나로 떨어지지도 않는 상태를 말하며 만약 가끔 지수가 한두 번씩 튀어 박스권을 벗어나더라도 금방 본래의 위치로 회귀할 때에 코스피를 박스피라고 합니다.

(2) 박스닥

  • 박스닥은 박스피와 같은 의미인데, 코스닥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이러한 박스피, 박스닥이 이루어질 때에 시장을 박스권 시장이라고 칭합니다.

 

3. 매매동향, 악성 매물

(1) 매매동향

  • 매매 동향은 위에서 언급한 순매수와 순매도를 합한 순매매 값을 보여줍니다. 이 매매 동향이 양수이면 순매수, 음수이면 순매도가 되는 것입니다.

(2) 악성매물

  • 주가가 상승하고, 하락하는 폭이 거대해 미처 매도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많이 물려있는 구간을 악성 매물이라고 부릅니다.
  • 만약, 이 악성 매물에 물린 구간 근처로 주가가 회복하면 물려있던 투자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는 다시 한번 떨어지면 다음의 기회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공포심리와 스탑로스 설정을 통한 손절매 등 여러 이유로 인해 발생합니다.
  • 하지만 이러한 악성 매물 구간을 오히려 돌파한다면 주가는 점층적으로 상승하여 전고점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추가 돌파의 가능성을 높여주며 악성 매물을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을 수 있게 하는 요인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