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3] 매매 주체의 정의와 종류와 구분

by 성오 2021. 11. 4.
반응형

매매주체란 주식투자자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주식 투자자란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구체적으로 분류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개인

- 국내에서 주식 계좌를 계설하여 투자하고 있는 개인 투자자  

2. 외인

-외국 국적의 법인, 외국계 금융회사, 헤지펀드 등 외국 투자자.

-여기서 헤지 펀드란 개인을 모집하여 조성한 자금을 국제증권시장이나 국제 외환 시장에 투자하여 단기 이익을 거둬들이는 개인 투자 신탁입니다. 해제란 본래 위험을 분산시킨다는 의미의 단어이지만 헤지 펀드는 위험 회피보다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성격이 더 강합니다.

3. 기관

-일반이나 법인 출처의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법인 투자 기관 - 연기금, 금융투자, 투자신탁, 기타 법인, 기타 금융 등을 모두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4. 연기금

-연기금은 연금과 기금을 합한 말로, 가입이 강제적으로 정해져 있는 데에 더해 조건과 수준 또한 정해져 있어서 사회보험의 형태를 띱니다.

-국민 연금, 공무원 연기 기금, 사학연금, 우체국 보험기금, 공체 회기 금 등이 해당됩니다.

 5. 금융투자(금투)

-증권사의 투자자문사, 트레이딩 부서 등의 투자자금

- 간단히 말한다면 어떠한 기관에서 개인의 돈을 받아서 대신 투자하는 것이 해당됩니다.

6. 투자 신탁(사모)

-사모 펀드는 49인 이하의 인원으로 1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가진 비공개 투자 펀드입니다.

-이 사모펀드는 통상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전문 투자 형 사모펀드와 회사 경영에 참여하거나 기업가치를 높이는 기업 참여형 사모펀드로 나뉩니다.

7. 기타 법인(기법)

-자사주 매입,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제외한 기타 기관. 예를 들어 삼성전자에서 현대차의 주식을 매입하면 기타 법인으로 표시됩니다.

8. 기타 금융(기금)

-기타 법인 금융기관. 예를 든다면 새마을금고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보험, 은행 국가 지방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