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용어

[주식 용어#32] 차익실현, 휘발성, 리스크, 칼손절, 재료소멸

by 성오 2021. 11. 19.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실전 투자에 주로 쓰이는 용어 중 차익실현, 휘발성, 리스크, 칼 손절, 재료 소멸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차익실현과 휘발성

(1) 차익실현

  •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종목을 매도하여 익절에 성공하였을 때, 즉 개인이 수익금을 얻었을 때에 '차익 실현' 했다.라고 말합니다.
  • 이는 저점 대비 고점이 높아지면 높아 질수록 또한 주가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여기에 더하여 장기간 주가가 횡보할 때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차익실현을 하는 투자자들이 증가합니다. 
  • 즉 주식 투자를 하실 때에는 차익 실현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나처럼 해당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 다른 투자자들의 심리와 매매 거동까지 생각하여 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휘발성

  • 휘발성이라는 말은 곧 사라지는 뉴스나 이슈를 일컫는 말입니다.
  • 휘발성이 있는 뉴스나 이슈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사라지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의미입니다. 단기 악재나 어차피 해결될 이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응형

2. 리스크, 칼손절

(1) 리스크

  • 리스크는 투자의 위험성이 높을 때에 하는 말입니다.
  • 매수를 할 때에 위험도가 높거나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은 경우입니다. 주가에 단기간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라면 그나마 낫지만, 기업 자체에 큰 영향을 주는 장기 리스크 같은 경우에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 예를 들자면 철강 섹터에게 있어서는 철근 가격의 증가는 장기 리스크에 해당합니다.

(2) 칼 손절

  • '칼 같이 손절하다'를 줄여서 일컫는 말입니다.
  • 단타 스캘핑에서 주로 쓰이는 말이며 리스크 관리나 현금 보유과 필요할 때의 기본으로 인식됩니다. 기본적으로 매수하고 나서 손실이 -3% 이상일 때에 손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3. 재료 소멸

  • 주가 상승에 대한 가능성이나 모멘텀이 사라졌을 때에 '재료 소멸'이라고 표현합니다.
  • '재료'란 것은 호재, 좋은 뉴스, 모멘텀, 펀더멘털 등이 해당합니다. 이것 들은 앞으로 주가가 계속해서 오르거나 기업이 발전할 수 있을 만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 이러한 재료가 사라지면 투자 가치는 떨어질 것이고 주가 상승에 대한 가능성은 당연히 사라질 것입니다. 이때에 사용하는 말이 '재료 소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