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주식 용어 중 던지기, 쓸어 담기, 털리다, 추대, 추격 매수, 탈출, 기회비용, 정찰병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던지기, 쓸어 담기, 털리다
(1) 던지기
- '던지기라는 말은 매도자가 늘어나서 보유중인 종목의 주가가 떨어지고 있을 때에 자신 또한 매도하며 주식을 던졌다고 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 갑작스러운 악재 또는 폭락장이 발생했을 때에 보이는 유형이며 급하게 매도를 하는 경우입니다. 물론 칼손절을 하는 것도 방법중 하나이나, 휘발성 있는 뉴스에 의한 것은 아닌지 살펴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2) 쓸어 담기
- 쓸어 담기는 던지기의 반댓말입니다. 매수자가 늘어나서 보유중인 종목의 주가가 상승하고 있을 때에 자신 또한 매수하며 주식을 쓸어담았다 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 쓸어담았다라고 매수자가 직접 표현하기도 합니다.
(3) 털리다
-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종목이 손절 이후 상승했을 때 털렸다는 의미로 쓰이는 표현입니다.
- 투자를 하시다 보면 어떤 종목의 주가 움직임이 마치 '야, 손절 안해?' 라고 말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일 때가 있는데, 이럴 때에 도 터는 주이다라고 쓰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2. 추매, 추격매수, 탈출
(1) 추매
- '추가 매수'의 줄임말이 추매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종목을 추가로 매수한다는 뜻입니다.
- 추가 매수를 했을 때에 평단가가 올라가면 불타기이고, 평단가가 내려가면 물타기라고 부릅니다.
- 추매는 바람직한 투자 방법중 하나입니다. 어떠한 종목을 매수할 때에는 한 번에 사지말고 사고자 하는 비율만큼 2~3번 이상 나누어서 분할 매수하는 것이 좋은 습관입니다.
(2) 추격 매수
- 급등중인 종목을 따라 매수하는 것을 추격매수라고 합니다. 가끔 추가 매수와 추격 매수를 햇갈리시는 분이 있는데, 추매와 추격매수는 한 글자 차이지만 확실히 다른 단어입니다.
- 추격매수는 주가가 상승중일 때에 따라가기 위하여 급하게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럴 떄에는 확률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들은 추격 매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탈출
- 투자를 하시다보면 매수 이후 주가가 너무 떨어져서 손절하지 못하는 상황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 이럴때에는 매일 아침 기도하는 마음으로 차트를 쳐다보게 되는데요. 이런 나날을 보내다가 주가가 회복하여 손절을 피했을 때 탈출이라고 표현하고는 합니다.
3. 기회비용, 정찰병
(1) 기회비용
- 현재 투자하여 보유중인 종목이 아닌 다른 종목을 매수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기회비용이라고 부릅니다,
- EX) A와 B를 매수해서 한 달 뒤에 매도했을 때, A는 5%의 상승을 기록했고 B는 5%보다 크게 상승했다면 B에 투자해서 벌 수 있었던 비용을 계산하는 것이 바로 기회비용입니다.
- 어떠한 종목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 보다 다른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기대 수익이 더 큰경우에 사용하거나, 하나의 종목을 장기간 보유하고 있을 때에 투자금이 묶여 있을 때에 사용하는 말입니다.
(2) 정찰병
- 관심을 가지고 있는 종목의 주가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하여 1주만 매수하는 것을 정찰병을 보냈다라고 말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올라오거나한 종목의 체결지표를 보면 이 정찰병들을 많이 목격할 수 있습니다.
+) 평단가에 관한 정보글
2021.11.08 - [주식/주식 용어] - [주식 용어#5] 비중, 평단가, 잔량, 정규장
+) 손절에 관한 정보글
2021.11.12 - [주식/주식 용어] - [주식 용어#9] 1 틱, 매수와 매도, 익절과 손절, 약수익과 약손실, 본전 치기
반응형
댓글